과도한자기인식(3)
-
과도한 자기인식은 유전적 요인일까? 아니면 환경적 요인일까?
과도한 자기인식(Excessive Self-Consciousness)은 불안장애, 공황장애, 발표 공포, 사회불안증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자기인식은 “유전적 요인”과 “환경적 요인”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, 형제관계나 가족환경, 개인적 목표와 같은 후천적 요소 역시 관련이 깊다는 것이 심리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입니다.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1. 유전적 요인 vs. 환경적 요인유전적 요인불안 성향, 예민함(감각처리 민감성), 내향성 등은 어느 정도 유전적 소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.실제로 사회불안장애(Social Anxiety Disorder), 공황장애(Panic Disorder) 등은 어느 정도 유전적 경향이 있다고 보고됩니다(일반적으로 30~50% ..
2025.04.18 -
과도한 자기인식 치료법(발표공포, 발표불안)
1. 인지치료(Cognitive Therapy) 기법1) 자동사고(Automatic Thoughts) 인식 및 기록자동사고 기록지를 활용해, 스스로가 어떤 상황(예: 거울 앞, 화상회의 시 자기 화면)에 처했을 때 떠오르는 부정적·비합리적 생각을 구체적으로 적어 봅니다.“내가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”, “사람들이 날 비웃을 거야” 같은 생각이 떠오르면, 그 순간의 감정(불안, 수치심 등)과 신체 반응(긴장, 가슴 두근거림 등)까지 함께 작성합니다.2) 사고 검증(Reality Testing) 및 재구조화(Cognitive Restructuring)기록한 부정적 자동사고를 객관적으로 검증해 봅니다. “사실 이 상황에서 정말 다른 사람들이 나만 보고 있을까?”, “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심각한가?”비합리적이거나..
2025.04.17 -
왜 화장실 거울이 앞에 있으면 소변을 보기가 힘들까?
거울을 바라보며 소변을 보는 상황에서 긴장하거나 생각이 많아져서 잘 나오지 않는 현상은, 보통 ‘소변 불안(Paruresis, 일명 “샤이 블래더” 혹은 “소변 수줍음”)’과 유사한 심리적 반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. 다만 이 증상은 원래 주변에 사람이 있거나 공개된 공간에서 소변을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를 주로 가리키지만, 거울로 인해 자기 자신의 모습을 직접 마주하게 되는 것도 비슷한 “자기 주시(self-focus)로 인한 긴장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왜 거울 때문에 더 긴장할까?과도한 자기인식(Self-Consciousness)거울을 통해 내 모습이 보이면, 자신을 ‘객관화’해서 보게 됩니다. 이때 외형적인 부분이나 표정, 자세 등에 대한 생각이 몰입되어 화장실 본래 용무에 집중하기 어렵게 만듭니다...
2025.04.16